예전에는 집안 어른들이 지방쓰는법을 알고 계시고,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았는데 직접 제사를 모시고 시대가 바뀜에 따라 지방쓰는법에 대해 생소해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지방은 통상 폭 6cm 정도, 길이 22cm 정도가 흰 한지가 적당하며 주로 사용합니다. 아버지(고위)를 왼쪽, 어머니(비위)를 오른쪽에 쓰며, 한 분만 돌아가셨을 경우에는 중앙에 쓰면 됩니다.
고인과 제사를 모시는 사람, 즉 제주와의 관계를 적고, 고인의 직위와 이름을 적은 후 마지막에 신위라고 적으시면 됩니다.
현(顯)은 존경의 의미로 지방의 첫 글자로 붙이는데 아랫사람한테는 쓰지 않습니다. 고(考)는 돌아가신 아버지, 비(妣)는 돌아가신 어머니를 의미하며, 할아버지/할머니의 경우 조고/조비, 그 위로 올라갈수록 증조, 고조식으로 칭호가 붙게 됩니다.
고조부모 지방쓰는법
현고조고학생부군신위
현고조비유인XXXX신위
증조부모 지방쓰는법
현증조고학생부군신위
현증조비유인XXXX신위
조부모 지방쓰는법
현조고학생부군신위
현조비유인XXXX신위
부모 지방쓰는법
현고학생부군신위
현비유인XXXX신위
백부모 지방쓰는법
현백부학생부군신위
현백모유인XXXX신위
형/형수 지방쓰는법
현형학생부군신위
현형수유인XXXX신위
남편/처 지방쓰는법
현벽학생부군신위
고실유인XXXX신위
마지막으로 뜻을 살펴보겠습니다.
첫 번째, 현고조, 현증조, 현조, 현벽과 같이 "현"은 존경의 의미를 "고조", "증조" 등은 모시는 조상을 의미합니다.
두 번째, 학생은 조상의 지위를 의미하며, 관직이 없는 경우로 과거시험을 준비 중인 예비 관원을 의미하며, 관직이 있는 경우 그 관직을 씁니다. 즉 벼슬이 없는 경우 학생이라고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세 번째, 부군은 제사 대상이 자신의 윗사람인 경우 사용을 합니다.
네 번째, 신위는 조상의 자리를 의미합니다.
이상 지방쓰는법에 대해 살펴 봤으며, 요즘은 포털사이트에 지방쓰는법, 출력까지 가능하니 확인하시고 작성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제사상 차리는 법 사진 및 지방 쓰는 법 한번에 준비하기
제사상 차리는 법은 지역과 집안에 따라 각양각색이기 때문에 어느 것이 맞다고 하는 상차림은 없습니다. 그렇다면 제사는 무엇을 의미할까요? 제사 사전적 의미는 신령이나 죽은 사람의 넋에
jcera.kr
'정보 다모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반떼 가격표 카탈로그 (0) | 2022.09.19 |
---|---|
다음 블로그 티스토리 수백가지 이모티콘 넣는 방법 (0) | 2022.09.14 |
교통범칙금 조회 이파인(경찰청 교통민원24)에서 바로 학인 (0) | 2022.09.04 |
넷플릭스 순위 사이트 플릭스 패트롤 flixpatrol 에서 확인! (0) | 2022.08.30 |
미스터트롯2 참가자모집 제2의 임영웅은 누가? (0) | 2022.08.22 |